1. 개요
- 학교 및 연구기관 : 도시계획 연구, 빗물관리 모델 연구
- 신규 하수도 시스템의 빗물저류조 설계
- 저류조 유무에 따른 유출량 감소 및 홍수발생여부 판단
2. 배경
- 도시확장, 기후변화로 인한 하수도 시설용량부족
- 작은 유역면적에 대한 빗물관리 부재
- 저류시설의 용량에 따른 효과분석 필요
- 빗물 거래제 도입을 위한 근거 필요
3. 해결 범위 및 주요 기능
- Micro 단위 집수면에 대한 빗물관리시설 최적 용량 산정
- 6가지 빗물관리 모델에 대한 다목적 효과 분석 및 경제성 평가
- 저류조 빗물 이용량에 따른 유출저감 효과 분석
- 강우, 집수면 크기 등 설계 시나리오에 따른 효과 분석 및 운전인자 도출
4. 알고리즘 및 Data 흐름도
5. 차별성
- 1ha 미만의 Micro-scale catchment 단위에 빗물관리시설 설계
- 적용 빗물시설 및 기능에 따른 6가지 빗물관리모델 해석
- 설계시나리오(강우, 집수면, 저류조 용량 등)에 따른 다목적 효과 및 비용효과 분석
- 다양한 이해관계자(공무원, 설계사, 학교/연구기관 등)에게 의사결정 지원
6. 빗물이용시설 관리모델 적용
- Rainfall-Discharge(R-D) Model
- Rainfall-Storage-Discharge(R-S-D) Model
- Rainfall-Storage-Pump-Discharge(R-S-P-D) Model
- Rainfall-Storage-Utilization-Discharge(R-S-U-D) Model
- Rainfall-Storage-infiltration-Discharge(R-S-I-D) Model
- Rainfall-Storage-Utilization-Infiltration-Discharge(R-S-U-I-D) Model
7. 사용처/활용방안
- 정책결정자 : 도시계획, LID개발 정책 수립, 도시홍수관리
- 건설/설계사 : 도시 기본 설계 및 실시설계
- 학교 및 연구기관 : 도시계획 연구, 빗물관리 모델 연구?